■ OruxMaps 업그레이드에 따른 줌설정 변경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자!

2014. 6. 6. 00:22OruxMaps 관련정보



■ OruxMaps 업그레이드에 따른 줌설정 변경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자!


 

제 기억으로는 지난 5월중순경쯤 OruxMaps 업그레이드가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일어난 것 같다.

# Oruxmaps Old (v.5.5.18) => Oruxmaps New (v.5.5.20)

먼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OruxMaps 버전이 얼마인지를 알아 볼려면, OruxMaps 을 띄우고 스마트폰
아래쪽(왼쪽 혹은 오른쪽)을 텃치하면 창이 뜨고, 그 중에 제일 아랫쪽 <소개>를 열어 보면 알 수 있다.

상기의 버전 숫자가 뒷자리 18 => 20 정도로 바뀐 정도이니, 많은 변경이 아니고 아주 적은 내용이
사용자 편의에 입각하여 변경된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나름대로 사용하는 범위내에서 조사를
해보니, 메뉴상의 한글번역이 조금 바뀐 것 같고, 특히 줌기능과 설정 방법이 제법 바뀐 것 같아
개인적으로는 불편함을 느껴서, Old 버전으로 원복시켜서 아무 불편함 없이 사용해 오고 있는데,
주변의 지인들이 줌사용상에 불편함을 하소연하는 전화를 받곤해서... 어차피 앞으로 지속적으로
업글되어 가는 OruxMaps 사용해야 하는 것이기에 이번 기회에 업글된 줌기능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여... 변경된 사용법에 자신을 맞추어 가기로 했다.

아래 내용들은 그런 측면에서 업글된 줌기능 및 설정 내용에 대해서 나름대로 정리한 내용을 Tip 정보
공유차원에서 올려보기로 했다. 막상 알고나면 아무것도 아닌 것이 요즘 IT 지식인데, 그런 가벼운 듯한
IT Tip 지식을 글로서 정리해서 전달할려고 하니... 사실 가볍지만은 않은 것 같다(ㅠㅠㅠ)



그럼 먼저 OruxMaps 에서 줌설정을 어떻게 하는지 아래 화면을 통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 # 본인 기준임 )


▼ New 버전 (v.5.5.20)의 줌설정 화면











▼ Old 버전 (v.5.5.18)의 줌설정 화면







# 설정 => 지도 => 줌설정 ... 으로 들어가서 자세히 보면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설정>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메뉴를 만들어 두었는데, 여기서 줌기능을 설정하는 부분이 Old 버전 vs. New 버전과 제법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상기와 같이 줌설정(체크)을 한 후에 각자가 그동안 사용해
왔던 방법(습관)대로 줌기능을 사용해 보시길 바란다. 그런 다음에 뭔가 불편한 점이 있으면, 이어지는
아래의 줌설정 내용을 정독한 후에 잘 이해가 된 상태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재설정을 하여 사용
하시길 권장하는 바이다.





# 이번 기회에 지도 <줌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대로 하자.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상으로 지도를 독도할 경우에 필수적인 기법이 줌기능일 것이다. 이런 줌기능이
없는 스마트폰용 지도를 생각하는 것은 아마도 어불성설이리라... (^^) 여기서 <줌기능>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기초적인 개념 정리를 할 필요가 있다.

줌(Zoom)기능의 기본적인 속성은 당연한 말이지만... <확대> & <축소> 기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가장 이상적인 것은 아무리 축소.확대해도 지도 해상도가 떨어지지 않고 제대로 볼 수 있으면 좋은데,
그런 줌기능을 구현할려면, 현실적으로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해서 경제성 & 기술적인 측면에서 그 타협점을
찾아야 할 것이리라.

이런 점들을 고려해서 만들어진 타협점의 산물로서 <레벨줌> & <디지털줌> 이라는 용어들이 만들어진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이런 2가지의 용어 개념을 잘 이해를 하여야만, <아미산>님이 만드신
<지리산길4.0> 멀티레벨 지도 & 최근에 배포되고 있는 <나무아래>님이 만드신 <전국지형도> 멀티레벨지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 <레벨줌>이란... 확대.축소하여도 지도 해상도가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 여러장의 축척도 지도를 여러장의 레벨지도를 제작하여 대응한다.

# <디지털줌>이란... 확대.축소할 경우에 해상도가 떨어진다.

=> 고해상도의 단일지도 제작으로 대응한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현재 수준의 25K 16레벨 지도의 경우엔 약300% 확대해도 볼만한 것 같다.


이렇게 아주 상식적인 내용을 장황하게 설명하는 이유가 있다. 스마트폰 작은 화면으로 독도할 경우에
목적에 따라서 대상 지도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면서... 산길정보를 판독하는 일은 아주 자연스런 일이리라.
이런 경우에 아주 이상적인 것은 지도를 아무리(?) 축소 & 확대를 해도 해상도가 떨어지지 않고 있는
그대로 유지되어 주었으면 하는 희망일 것이다(이런 지도를 Vector 지도라고 함).

이런한 <희망>을 구체적으로 구현해 주기 위해서 만들어진 현실 타협적인(?)... 개념이 바로 <레벨줌> &
<디지털줌> 기법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 OruxMaps 에서 아래와 같이 <줌설정>을 무려 3가지 방법으로 충실하게 제공하고 있다.

1) 볼 륨 키 : 스마트 왼쪽 측면의 오디오 불륨키를 이용하여 화면확대 & 축소

2) 멀티터치 : 화면에 <두손가락>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방법으로 화면 확대 & 축소

3) 스크린키 : 화면사이드에 나타나는 <돋보기> 아이콘을 터치하여 화면 확대 & 축소


상기 각각에 줌(Zoom) 방법을 무려 3가지 방식을 따로따로 분리해서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디지털줌, 레벨줌, 복합줌(디지털 + 레벨)으로... @~@!!!


따라서, 상기와 같은 줌(Zoom) 기능을 잘 이해하여야만, 지리구구를 통하여 배포된 <아미산>님의 [ Jirisangil 4.0 ]
멀티레벨지도 & <나무아래>님의 <전국지형도> 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런데, 지금까지 상기의 3군데를 통해서 지도줌 기능을 세부적으로 설정하여 작동시킬 수가 있었는데,
업글 이후엔 아쉽게도 User 가 직접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부분을 축소시킨 것 같은 인상을 갖는다.

즉, 두손가락으로 <멀티터치>에 의한 줌기능을 아예 Default 화 시켜서... 복합줌(디지털 + 레벨)으로 해두어
개인 취향에 따라서 <디지털줌> 혹은 <레벨줌>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해두어, 아예 메뉴상에 빠져 있다.
또한 <볼륨키> & <스크린키>에 설정할 수 있는 줌설정도 단순화시켜서 기존엔 3가지로 설정할 수 있었는데,
이번엔 <디지털줌> 혹은 복합줌(디지털 + 레벨) 2가지만 설정할 수 있도록 축소시켜 두었다.


따라서, 현재 업글된 OruxMaps 에서는 <멀티터치>줌기능... 지도를 두손가락으로 늘이거나 줄이는 방법은
오직 복합줌(디지털 + 레벨)밖에 할 수가 없게 Default 로 설정되어 있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지도를 좀 크게
볼려고 늘이거나 줄이는 경우에... 지도 축적도가 다른 지도들이 자동으로 보이면서... 보고 싶은 지도를
좀더 자세히 볼려고 미세 줌조정을 하다 보면, 다른 지도가 나와서 헷깔리고 불편할 수도 있을 것이리라.

이런 경험을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사용하고 있는 <멀티지도> & OruxMaps <줌설정>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안되어 있기에 경험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고 숙련이 되면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 일이다.

여기서 오룩스맵용 지도제작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Old 버전인 <지리산길3.0>의 경우엔 축척도
25K 16레벨 지도 한 종류만으로 제작되었기에 줌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것은 단순히 <디지털줌> 형태로만
제공되기에 User 사용상 별 불편함이 없이 잘 사용할 수 있었다고 본다.

반면에 올해들어 갑자기 <멀티지도>제작의 열풍이 불어서... 분위기상으로 볼 때, 사용상의 실용적인 측면과는
무관하게 무조건 <멀티지도> 형태로 제작하여, 그것도 지리산 전역지도가 1장으로... 뿐만아니라 전국지도가
1장으로 그것도 여러 축척도별 각레벨지도로 제작되어... 이를 한개로 묶어서 <멀티지도>라는 이름을
붙혀서 무료로 배포하는 광풍이 휘몰아치고 있는 중이다.

<멀티지도>란 말그대로 여러종류의 지도를 보여주는 지도라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축척도별로
주로 국토지리원 온맵 지도 250K, 50K, 25K 를 보통 각 2가지 종류의 레벨지도 형태로 만들어서, 한개 파일로
묶은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형태로 각축척도별로 레벨지도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
수법이라고 한다.


250K => Level 11, 12, 13 => 산행 대상지역을 찾는데 도움을 준다 (인덱스용 지도)
50K => Level 13, 14, 15 => 산행코스 전체윤곽을 잡는데 도움을 준다.
25K => Level 15, 16, 17 => 산행코스의 구체적인 산길정보를 제공을 준다.
5K => Level 17, 18, 19 => 특별 목적용으로 현미경 수준의 지형도를 제공한다.



# 아미산님의 <지리산길 4.0> 멀티지도의 경우 => 6개 레벨의 지도가 한묶음으로 되어 있음 (파일크기 : 532M)

축척도 250K Zoom Level 11, 12
축척도 50K Zoom Level 13, 14
축척도 25K Zoom Level 15, 16



▼ 250K Zoom Level 11, 12 => 지리산 전체지역에서 산행 대상지역을 찾는데 도움을 준다.
(# 지도 레벨 표시는 @ 표시 위에 있는 숫자임)




▼ 50K Zoom Level 13, 14 => 지리산 산행코스 전체윤곽을 잡는데 도움을 준다.




▼ 25K Zoom Level 15, 16 => 산행코스의 구체적인 산길정보를 제공을 주며, 실전에서
제일 도움이 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 지리산길3.0의 경우는 25K 16 레벨 지도만 제공 )







# 나무아래님의 <전국지형도> 멀티지도의 경우 => 11개 레벨의 지도가 한묶으로 되어있음 (파일크기 : 11.7G)


축척도 ? Zoom Level 6,7,8,9,10 (전국 지도 찾기 인덱스용)
축척도 250K Zoom Level 11, 12
축척도 50K Zoom Level 13, 14
축척도 25K Zoom Level 15, 16



▼ 축척도 ? Zoom Level => 6, 7 (# 지도 레벨 표시는 @ 표시 위에 있는 숫자임)




▼ 축척도 ? Zoom Level => 8, 9




▼ 축척도 ? Zoom Level => 10, 11




▼ 축척도 250K Zoom Level => 12, 13




▼ 축척도 50K Zoom Level => 14, 15




▼ 축척도 25K Zoom Level => 16







<멀티지도>의 구성에 대해서 이상과 같이 장황하고 복잡하게 설명을 하는 이유는 뭘까? 그것은 사용하고자
하는 멀티지도의 구성을 잘 이해하여야만 줌기능을 사용하여 User 가 보고자 하는 지도 정보를 제대로 볼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지금부터 각화면별 줌기능이 어떻게 작동이 되는가를 살펴보기로 하자.


아래 화면을 다시 한번 살펴보기로 하자.


▼ New 버전 (v.5.5.20)의 줌설정 화면





Old 버전에서는 3군데(볼륨키/멀티터치/스크린키)를 통해서 지도줌 기능을 세부적으로 설정하여 작동시킬
수가 있었는데, 업글 이후엔 User 가 직접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부분을 축소시킨 것 같은 인상을 갖는다.

즉, 두손가락으로 <멀티터치>에 의한 줌기능을 아예 Default 화 시켜서... 복합줌(디지털 + 레벨)으로 해두어
개인 취향에 따라서 <디지털줌> 혹은 <레벨줌>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해두어, 아예 메뉴상에 빠져 있다.
또한 <볼륨키> & <스크린키>에 설정할 수 있는 줌설정도 단순화시켜서 기존엔 3가지로 설정할 수 있었는데,
이번엔 <디지털줌> 혹은 복합줌(디지털 + 레벨) 2가지만 설정할 수 있도록 축소시켜 두었다.

따라서, 현재 업글된 OruxMaps 에서는 <멀티터치>줌기능... 지도를 두손가락으로 늘이거나 줄이는 방법은
오직 복합줌(디지털 + 레벨)밖에 할 수가 없게 Default 로 설정되어 있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지도를 좀 크게
볼려고 늘이거나 줄이는 경우에... 지도 축적도가 다른 지도들이 자동으로 보이면서... 보고 싶은 지도를
좀더 자세히 볼려고 미세 줌조정을 하다 보면, 다른 지도가 나와서 헷깔리고 불편할 수도 있을 것이리라.

그러면, 지금부터 구체적으로 saiba 가 상기와 같이 줌설정을 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을 예를들어 줌작동법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을 하고자 한다. 우선 이런 내용을 잘 이해를 하면, 각자의 취향에 맞게 재설정하여
줌사용을 하면 될 것이리라.


상기 줌설정내용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화면을 두손가락으로 확대.축소하는 것(멀티터치)은 복합줌(디지털 + 레벨)으로 사용한다 => 기본으로 설정된 것
2) 불륨키는 디지털줌으로만 사용한다. (만약에 체크표시를 하지 않을 경우엔 복합줌으로 사용함)
3) 스크린키(돋보기)는 디지털줌으로만 사용한다. (만약에 체크표시를 하지 않을 경우엔 복합줌으로 사용함)


Old 버전에는 3군데(볼륨키/멀티터치/스크린키)마다 줌설정을 개인취향에 따라 각각 3가지(디지털줌/레벨줌/복합줌)로
설정이 가능했었는데, 업글 이후의 New 버전엔 멀티터치엔 복합줌으로 강제설정되고, 또한 불륨키/스크린키엔
레벨줌 설정이 빠지고, 2가지(디지털줌 혹은 복합줌)만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이 된 것 같다.


그럼 제일 중요한 화면 멀티터치(두손가락 확대.축소) 복합줌(디지털 + 레벨) 기능에 대해서 <지리산길4.0> 멀티지도를
예를들어 어떤 방법으로 작동이 되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리산길4.0> 멀티지도에서는 6개종류의 레벨지도(3개축척도별 2개레벨 지도)를 제작하여,
1개지도로 제작한 것이다. 즉 11레벨 ~ 16레벨 지도이다. 따라서 화면상에 두손가락으로 지도를 확대.축소할 경우에
6개종류의 지도가 순차적으로 보여져야 한다. 그 보여지는 방법을 복합줌(디지털 + 레벨)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화면상에 나타나는 것은 아래 화면과 같은 식으로 구현을 해둔 것 같다.


즉, 두손가락으로 서서히 늘여가면, 화면상에 보여지는 지도가 확대되어 가면서... (레벨 + 디지털) 형태로 복합적으로
보여지면서 원활하게 지도가 확대되어 가는 형태로 보여짐을 알 수 있을 것이리라. 특정 레벨의 지도를 디지털줌으로
볼 수 있는 배율은 약150%가 한계인 것 같고, 그 이상을 넘어가면, 해상도를 떨어뜨리지 않을 요량으로 그 상위 레벨의
지도를 조금 축소하여 보여주는 듯한 테크닉을 구사하고 있는 듯하다.

# 참고로 동일한 축척도 지도가 1레벨 차이로 제작이 될 때, 지도크기가 4배가 된다고 한다. 즉, 보통 25K 지도는
16레벨로 제작할 때 제일 무난하게 볼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라고 하며, 이를 17레벨로 제작할 경우엔 무려 4배나
크기때문에 얼마나 엄청난 크기의 지도인지를 이해할 수 있으리라.




▲ 11레벨 100% => 11레벨 140%(11레벨 지도의 디지털줌) => 12레벨 75% (12레벨의 디지털줌)





▲ 12레벨 100% => 12레벨 148%(12레벨 지도의 디지털줌) => 13레벨 84% (13레벨의 디지털줌)





▲ 13레벨 100% => 13레벨 142%(13레벨 지도의 디지털줌) => 14레벨 81% (14레벨의 디지털줌)





▲ 14레벨 100% => 14레벨 139%(14레벨 지도의 디지털줌) => 15레벨 82% (15레벨의 디지털줌)





▲ 15레벨 100% => 15레벨 144%(15레벨 지도의 디지털줌) => 16레벨 86% (16레벨의 디지털줌)





▲ 16레벨 100% => 16레벨 153%(16레벨 지도의 디지털줌) => 16레벨 260% (16레벨의 디지털줌)





▲ 16레벨 420% (16레벨의 디지털줌) => 16레벨 798% (16레벨의 디지털줌)



# 그리고, <지리산길4.0> 멀티지도는 25K 16레벨 이상의 지도는 없기 때문에, 16레벨 지도상에서 확대를 하는
경우엔 계속해서 <디지털줌>으로 확대된 지도만 나타난다. 반대로 축소할 경우도 마찬가지로 11레벨 이하의
지도가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축소를 하면 11레벨 지도 상태에서 축소되는 지도만 나타난다.


이상과 같이 화면 멀티터치(두손가락 확대.축소) 복합줌(디지털 + 레벨) 기능에 대해서 실제적인 예를 통해서
어떻게 작동이 되는지 설명을 하였다. 그러면, 디지털줌으로 설정되어 있는 <불륨키> & <스크린키(돋보기)>는
어떤 경우에 사용할까? 그것은 상기에 설명한 각각의 화면상에서 좀더 확대해서 구체적으로 보고 싶을 경우에
디지털확대하여 볼 경우에 사용한다.




▲ 상기 화면에서 50K 14레벨 지도를 130% 정도로 확대해서 보고 있는데, 이 지도를 좀 더 확대해서 보고 싶을
경우에 손가락으로 줌확대하면, 15레벨지도가 축소된 상태에서 보이게 되어 불편하다. 이런 경우엔 손가락줌
대신에 사이드 불륨키나 스크린키(돋보기)를 이용하면, 그 화면을 디지털로 확대해서 볼 수가 있다. 사실 이런
경우는 지도 전체의 윤곽을 잡을 경우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OruxMaps 를 통해서 독도를 한다는 것은 다음 2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가 있는데, 첫번째가
산행전 시간적인 여유로움속에 산행 전체 코스에 대한 Pre-Study 를 위한 독도, 두번째로는 산행중의 <현장독도>
이다. 제일 중요한 것은 두번째의 현장독도인데... 산행중의 긴박감속에 엄~청 정신을 집중하여 상세독도가 요구
되는 상황에 부합되는 줌기능이 필요하다고 본다. saiba 산님이 지리산길4.0 <멀티지도>를 통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레벨15 이하의 지도에 대해서는 Pre-Study 할 경우에만 주로 사용하고, 지리속살 산행의 치열함이 묻어
나는 긴박한 전투모드(^^) 현장 분위기속에서 독도를 할 경우엔 거~의 16레벨지도 상태에서 심플한 <디지털줌>
만을 사용하고 있음을 고백한다.


이상과 같이 두서없이 장황하게 설명한 오룩스맵 줌설정에 대한 내용이 <멀티지도>를 사용하여 산행할 경우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끝까지 인내력있기 읽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saiba (^^)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