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p 정보 ] SD 외장메모리에 맵오프라인 지도 저장 및 경로 설정하는법

2014. 4. 9. 13:27OruxMaps 관련정보


요즈음 OruxMaps 지도가 <단일레벨지도>에서 ==>> <멀티레벨지도>로 순식간에 대세가 바뀐 것 같습니다.
이런 추세에서 좋은 점이 많지만.... 물밑으로 어쩔 수가 없이 물리적인 보완을 해야만 되는 부분이 바로 메모리
부분입니다.

<지리산길4.0> 멀티지도의 경우는 (사실 지형도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도 있지만) 이런 문제점을 사전에
충분히 고려해서, 각레벨 지도 제작시에 해상도를 떨어트려서... 실용적으로 별문제가 없을 정도로 만들었기에
사용자들이 별 부담이 없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제작되었기에 ===> 약530M 정도 됩니다.

그런데, 지난주(4/3)엔 <나무아래님>께서 전격적으로 지리산전역 <5K 멀티지도>를 만들어 <지리구구>를
통해서 기간한정으로 배포하고 있는데, 그 용량이 무려~  4.7G 정도나 됩니다.


그리고, 산꾼이 어디 지리산에만 갑니까? ㅎㅎㅎ  때론 전국 명산에도 가야되지요. 해서리, 최근엔 전국 지형도의
멀티레벨지도들이 무려 저용량~대용량(10~22G)으로 만들어 급속도로  공개되고 있는 추세랍니다.   

이런 경우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내장 메모리로선 절대적으로 <용량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외장메모리 확장이 절대 필요하구요, SD micro 32G or 64G 정도를 구입해서 확장을 하여야 될 것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폰 모델에 따라, 32G 까지 확장가능 혹은 64G까지 확장가능 하는 걸림돌이 있답니다.

제일 좋은 것은 64G 확장하는 것인데, 어쩔 수 없이 32G만 되는 경우는 별도로 ==> exFAT 형식으로 포멧하여만
단일파일 4G 이상의 파일를 복사해 넣을 수가 있답니다. (단, 64G 카드는 원래부터 exFAT 포멧되어 있음)


1) 이렇게 준비한 SD 카드를 스마트폰에 끼워넣습니다.

2) 그 다음엔 PC 탐색기나 스마트폰 자체 탐색기를 사용하여, 외장 SD 카드내에 아래 3개 폴드를 차례로
    하위폴드가 되게 만듭니다.

    # 외장 SD 카드 ==> oruxmaps > mapfiles > offlinemaps

3) 그런 다음에 복사해서 넣을 <Jirisangi4.0) 이나 <지리산 5K> 혹은 <전국멀티지도>등을 <폴드통째로> 상기의
     offlinemaps 폴드 아래에 복사해서 넣습니다.

4) 그 다음 순서가 상기와 같이 지도가 내장이 아닌... <외장카드>에 들어있다는 물리적인 정보를 지도환경
    설정으로 
인식시켜야 합니다. 
   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설정 => 지도환경설정 => 지도폴드 (지도가 현재 저장되어 있는 위치) ==> 









 


 
상기에서 2번째 그림의 <지도폴드>를 눌러서...  (주물떡 주물떡 해서리ㅎㅎㅎ)  외장 SD 카드내에 지도가 들어 있는
폴드 경로를 찾아서,
상기  그림에서 <OfflineMaps> 폴드 부분을 조금 누르고 있으면, 왼쪽과 같은 경로 설정이
자동으로 됩니다.



# 참고로 상기와 같이 자동 설정이 안될 경우엔 (Oruxmaps 버전 차이에 의함)  어쩔 수 없이 수동으로
==>  /storage
/extSdcard/oruxmaps/mapfiles/offlinemaps 가 되도록 경로를 잡아주어야 합니다.